1. GPS와 LPS의 차이점
1) GPS(Global Positioning System)
- 위성 기반의 위치 감지 기술
- 초기에 군사 기술로 주로 사용되었으나, 현대에서는 위치 기반 서비스(Local Based Service) 형태로 많은 곳에서 사용 되는 중
- 야외 종목 스포츠에서 주로 사용
- 오차 범위가 비교적 큼(약 2m ~ 15m)
2) LPS(Local Positioning System)
- GPS 기기의 가시선 부족으로 인한 실내 사용의 제한 문제 때문에 많은 분야에서 사용 중
- GPS에 비해 높은 정확성을 보여줌(10cm 내외의 오차 범위까지 가능)
- 실내 종목 스포츠에 적합
- 원하는 범위에 무선 송수신기를 설치하여 송수신기가 커버하는 범위 내에서 정확한 트래킹 가능
- 다양한 통신 방식 사용
Infrared Radiation (IR)
Wi-Fi Technology
Ultra-wideband (UWB) Technology
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(RFID)
Ultrasonic Technology
Bluetooth Technology
2. 시스템의 확장성
1) 실내 종목에 LPS 시스템 도입
- 농구, 핸드볼, 배구, 아이스하키 등 실내 종목에 LPS 기술을 사용하여 트래킹 시스템 도입
- 플랫폼을 통해 경기 기록 + 트래킹 데이터를 표출
- 선수관리, 전력 분석, 연봉 고과, 스카우팅 등에 활용 가능
2) 육상 종목에 LPS 시스템 도입
- LPS 송수신기를 훈련장 및 경기장에 설치
- 정확성이 중요한 육상 종목에는 GPS보다 LPS가 적합
- 다양한 트래킹 데이터를 통해 선수 관리 및 훈련에 이용 가능
- 선수 몸에 부착하는 송신기 무게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
3) 경륜 경기에 LPS 시스템 도입
- 속도 및 위치 정보가 중요한 경륜에 도입
- 경기장 및 훈련장에 설치하여 데이터 수집
- 구간별 속도 및 자신이 지나간 코스 위치 정보 확인
- 경기력 분석, 선수 관리, 훈련 관리 등 가능
- 자전거 혹은 사람에 송신기 부착
- 송신기 무게 최소화가 급선무
'Sports Industr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5G 엣지 클라우드] AWS Wavelength와 SKT의 Public MEC(Mobile Edge Computing) 서비스 (0) | 2020.09.07 |
---|---|
[스마트 글래스] 스포츠 스마트 글래스(Smart Glasses) 시장과 현황 그리고 전망 (0) | 2020.06.03 |
[포스텍-축구협회] 포항공대(포스텍) - 축구협회 ‘첨단 ICT 융복합 기술 기반의 한국 축구 경쟁력 강화 및 차세대 축구산업 인프라 확충’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(0) | 2020.05.17 |
[NFL SCOUTING COMBINE] NFL 스카우팅 컴바인이란????스카우팅 콤바인을 알아보자 (0) | 2019.09.11 |
[AI 산업] 스포츠 AI 시장 조사 (0) | 2019.09.11 |